경상남도, 25년 국가교통망 계획 수립: 주요 철도·도로망 및 교통 인프라 확충 방안

경상남도, 25년 국가교통망 계획 수립: 주요 철도·도로망 및 교통 인프라 확충 방안

경남도, '도내 1시간대·수도권 2시간대 시대' 연다

image

경상남도는 '2025년 국가교통망 계획'에 주요 교통망 사업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내 1시간대, 수도권 2시간대의 교통망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교통 인프라 확충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경남도가 진행 중인 대부분의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단계에 있거나 공사가 진행 중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번 국가교통망 계획은 향후 교통망 확충에 있어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서 2025년도 경상남도 도로망 구축 계획을 상세하게 정리해 두었다.

image
25년도 경상남도 도로망 구축계획: 주요 고속도로와 국도의 개통 일정 및 주요 노선 정리



국가교통망 계획에 주요 사업 반영 총력

image

경남도는 도내의 21개 간선 도로망 사업(총 141.4km, 3조 7,556억 원)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됨에 따라, 이를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에 포함시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43km, 2조 4,650억 원)의 국도 지정이 확정될 예정이다. 이는 남해안 지역의 관광 활성화와 교통망 개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image

하반기에는 여러 주요 교통망 계획들이 확정될 예정이다.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그리고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이 포함된다. 특히 사천공항의 국제공항 승격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2025년에는 국가계획에 반영될 교통망 주요 사업 일정이 다수 있다. 남해안 아일랜드 하이웨이와 같은 국도 지정이 확정될 예정이다(2025년 상반기). 또한 대구~창원~가덕도의 신공항을 포함한 철도망 계획도 확정된다(2025년 하반기). 진례JCT~진해신항을 연결하는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도 같은 시기에 확정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사천공항의 국제공항 승격을 위한 개발계획도 2025년 하반기에 확정된다.




주요 철도망 추진 현황

image

경상남도는 초광역 철도망 구축을 가속화하며 도내 교통 개선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계획도를 살펴보면, 추진 중인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실현 가능성이 낮은 망상에 가까운 모습이다.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철도망 사업으로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김해 진영에서 양산 북정, 울산 KTX역을 연결하는 복선 전철로, 총 길이는 54.6km에 이르며, 예상 비용은 3조 12억 원에 달한다. 또한, 수도권 GTX와 유사한 형태의 ITX-청춘(EMU-180) 도입이 예정되어 있으며, 2025년에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러한 철도망 구축이 실현된다면 경남 지역의 교통 인프라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image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가덕신공항까지 연장 추진: 노선 변경 가능성 및 수요문제 분석

부산, 양산, 울산을 연결하는 광역철도가 계획되고 있다. 이 철도는 총 48.8km의 노선으로, 약 3조 424억 원의 비용이 소요될 예정이다.

부산 노포역에서 시작해 양산 웅상, 울산 무거를 거쳐 울산 KTX역까지 이어지는 복선 전철로, 경부고속철도와의 연계를 통해 이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에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완료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image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양산웅산선)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 경전철로 건설되나?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차량기지 재배치 연계?

부전~마산 복선전철은 부산 부전과 창원 마산을 연결하는 32.7km 구간의 철도 프로젝트이다.

총 사업비는 1조 5,766억 원으로, 2025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분 개통의 가능성도 있는 만큼, 향후 진행 상황이 주목된다.

image
부전-마산 복선전철, 25년 부분개통 가능성과 새로운 변화들: ITX-마음 투입, 신월역 신축, 에코델타시티역 신설 등

남부내륙철도는 경북 김천과 경남 거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로, 총 길이는 174.6km에 달한다.

이 프로젝트의 총 예산은 6조 6,920억 원으로, 2025년 하반기에 착공할 예정이다.

현재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공청회가 진행되고 있다.

image
남부내륙철도 KTX 거제역, 위치 논란과 역세권 개발 현황



주요 도로망 추진 현황

경상남도의 주요 도로사업이 제6차 국도·국지도 5개년 도로건설계획(2026~2030)에 포함되어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image
경상남도 주요 도로사업, 일괄예타 대상 선정! 제6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살펴보기

도로망 확충은 출퇴근 환경을 개선하고 물류망 구축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도로망 사업으로는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image

함양~울산 고속도로는 경남 서부권과 동부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망이다. 총 길이는 144.55km이며, 사업비는 7조 119억 원이 소요된다. 현재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image
밀양 창녕 고속도로, 12월 28일 토요일 오전 10시 개통! 울산, 함양과의 연결이 더 가까워진다!

김해공항IC에서 대동JCT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 확장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구간은 8.7km에 달하며, 총 사업비는 4,505억 원이다. 2025년 말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image
중앙고속도로 김해~대동 구간 확장사업, 교통 체증 해소의 새로운 전환점

국도와 국지도 건설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계에서 삼계까지 13.76km 구간에 4,744억 원이 투입되고, 생림에서 상동까지는 8.56km를 2,167억 원으로 연결한다.

또한, 산청에서 금서까지의 3.2km 구간에는 278억 원이 투자된다. 현재 총 4개 노선의 공사가 진행 중이다.

image
김해 주촌~삼계 국도 58호선, 10월 4일 오후 2시 부분 개통: 새로운 교통의 길을 열다!

이들 도로망이 완공되면 상습 정체 구간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사고 위험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전반적인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사천공항, 국제공항으로 기능 재편 추진

image

경남도는 사천공항을 국제공항으로 승격하기 위해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사천공항의 확장과 활주로 연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2,743m인 활주로를 3,200m로 늘릴 계획이다.

여객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24만 명에서 2030년에는 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남해안 관광벨트 조성과 항공 MRO 산업의 성장도 지원하고 있다.

image

경상남도주요 교통망 사업 현황

연번사업명사업개요
1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도내 11건 신청, 국가계획 반영('25. 下)​- (신청현황) 일반철도 11건 / 799.13km / 29조 9,333억 원- (추진일정) 국토부 연구 용역 착수(’23.7~) → 시‧도 신규노선 신청(’24.2) → 사업 분석/공청회(’24.~‘25) →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고시(’25.下)
2제3차 고속도로 및제6차 국도·국지도건설계획◦ (제3차 고속도로) 도내 7건 신청, 국가계획 반영('25. 下)​- (신청현황) 7건 / 232.1km / 9조 817억 원‧ (신설) 1건 / 88.9㎞ / 3조 2,600억원 (영동~합천(남북6축))‧ (확장) 3건 / 89.3㎞ / 3조 3,697억원 (사천~하동, 칠원~현풍, 진례~진해신항)‧ (지정) 3건 / 53.9㎞ / 2조 4,520억원 (합천~함안, 진해신항~가덕신공항, 창원~김해)- (추진일정) 시도별 수요조사(~‘23. 3.) → 타당성 검토(국토연구원, ’23. 5.~‘25. 11.) →기재부 협의(’25. 上~) →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및 고시('25.下)​◦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기획재정부 일괄예타 대상 선정 21건 / 141.4km / 3조 7,556억 원(국도 13, 국대도 4, 국지도 4)​- (신청현황) 36건 / 277.2km / 5조 8,360억 원‧ (국도) 22건 / 185.47km, (국대도) 4건 / 30.7km, (국지도) 10건 / 61km- (추진일정) 시도별 수요조사(~‘23. 3.) → 타당성 검토(국토연구원, ’23. 5.~‘25. 11.) → 기재부 일괄예타 대상 선정 및 시행(’25. 1~) →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및 고시('25.下)
3국도·국지도 노선조정(승격)◦ (국토부 반영) 8건 / 174km / 35,863억 원​- (조정내용) 노선승격 5, 지선국도 2, 지정국도 1- (조정주기) 수시 조정 가능, 5년마다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수립 시 병행 검토​- (추진일정) 시도별 수요조사(~‘23.3.) → 타당성 검토(한국교통연구원, ’23.3.~‘24.7.) → 기재부 협의(’24.9.~) →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및 고시('25.上)
4사천공항 기능재편(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 반영)◦ (사업개요) 사천공항 부지 확장(45,299㎡ → 251,908㎡), 활주로 연장(L=2,743m → 3,200m), 국제공항 승격(CIQ 설치, 계류장 증설 등)◦ (추진목적) 여객 수요 증가전망(現. 24만명→'30. 50만명), 항공MRO산업성장, 남해안 관광벨트 조성 등◦ (추진일정)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용역착수(’24.5.~‘25.11.) → 수요전망 및 개발방향 등 검토(’24.7.~’25.10.) → 공청회(’25.10.) → 고시('25.下)
5부산~양산~울산광역철도◦ (사업비/기간) 3조 424억 원 / 2023~2035(예타 진행중)◦ (위 치) 부산(노포) ~ 양산(웅상) ~ 울산(무거) ~ 울산KTX역◦ (내 용) 복선 L=48.8km, AGT(철제차륜)◦ (추진상황) 사전타당성조사 완료('23.7)→예비타당성조사 완료('25.6.)→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26~'27.)
6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사업비/기간) 3조 12억 원 / 2024~2036(예타 진행중)◦ (위 치) 김해(진영) ~ 양산(물금, 북정) ~ 울산KTX역◦ (내 용) 복선 L=54.6km, ITX-청춘(EMU-180)◦ (추진상황) 사전타당성조사 완료('24.12.)→예비타당성조사 완료('25.12)→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26~'27.)
7부전-마산 복선전철◦ (사업비/기간) 1조 5,766억 원 / 2014~2025◦ (위 치) 김해 진례면 ~ 부전역◦ (내 용) L=32.7km, 스마트레일(주) BTL방식
8남부내륙철도 건설◦ (사업비/기간) 6조 6,920억 원 / 2020~2030◦ (위 치) 경북 김천 ~ 경남 거제◦ (내 용) KTX 단선 174.6km◦ (추진상황) 10개 공구(1 ~ 9공구 기본‧실시설계, 10공구 기본설계)※ 환경영향평가(초안) 진주, 고성 주민공청회 개최 ('25.2)
9고속도로 예타대상사업 선정① 거제~통영 고속도로 건설​◦ (사업비/기간) 1조 7,782억 원 / 예타진행중◦ (내 용) 고속도로 신설 L=24.6km, 4차로◦ (추진상황) 제2차 고속도로 건설5개년 계획 고시('22.2)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 및 시행('24.2)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발표('25.3)
② 김해~밀양 고속도로 건설​◦ (사업비/기간) 1조 4,965억 원 / 예타진행중◦ (내 용) 고속도로 신설 L=19.8km, 4차로◦ (추진상황) 제2차 고속도로 건설5개년 계획 고시('22.2)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 및 시행('24.6)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발표('25.6)
10국도·국지도 및지방도 12개사업 준공◦ 12건/ 33.91km (준공 9건/ 26.51km, 부분개통 3건/ 7.4km)- 국도 3건/17.73km, 국지도 4건/12.16km, 지방도 5건/4.02km​① 김해 무계~삼계 국대도 건설(국도58호선) 개통◦ (사업비/기간) 4,744억 원 / 2008.03~2025.12◦ (내 용) L=13.76km, B=20.0~27.0m(4~6차로)◦ (추진상황) 착공('08.3) → 부분개통('24.10) → 준공('25.12)​② 생림~상동 도로 건설(국지도60호선) 개통◦ (사업비/기간) 2,167억 원 / 2008.03~2025.02◦ (내 용) L= 8.56㎞, B=20.0m(4차로)◦ (추진상황) 착공('08.3) → 준공('25.12)​③ 산청~금서 도로건설(국지도60호선) 개통◦ (사업비/기간) 278억 원 / 2021.04~2025.12◦ (내 용) L=3.2㎞, B=10m(2차로)◦ (추진상황) 착공('21.4) → 준공('25.12)
11함양~울산간고속도로◦ (사업비/기간) 7조 119억 원 / 2014 ~ 2026◦ (내 용) 도로건설 L=144.55㎞, 4차로◦ (추진상황)- 밀양~울산 10개 공구 45.17km('20.12 준공)- 창녕~밀양 6개 공구 28.54km('24.12 준공)- 함양~합천 6개 공구 34.09km('17.6~'26.12)- 합천~창녕 6개 공구 36.75km('18.2~'26.12)
12김해공항IC~대동JCT 고속도로◦ (사업비/기간) 3,261억 원 / 기본설계중◦ (내 용) 도로건설 L=8.7㎞(4·6차로→6·8차로)◦ (추진상황)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반영('22.2) → 예비타당성조사 완료('22.6) → 타당성 검토 및 기본설계용역 시행('23.7~'25.1) → 실시설계용역 시행('25.上~) → 공사 착공('25.下)

#경남교통망, #국가철도망, #고속도로계획, #사천공항, #국제공항승격, #교통인프라, #남부내륙철도, #부전마산복선전철, #광역철도, #도로확충, #교통복지, #경남발전, #경남교통정책, #국가계획반영, #경상남도, #경남미래교통, #경남도시개발

다음 이전